ㅇ 흔히들 과학혁명 당시에 과학과 종교는 심각하게 대립했다고 생각한다. 하지만 그렇게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.
ㅇ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이 기독교와 대립한다고 여기지 않았으며, 오히려 신의 권능을 널리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했었다.
ㅇ 당시 과학과 종교 사이의 대립에 대한 이미지는 갈릴레오의 재판과 같은 몇몇 역사적 에피소드들에 의해서 다소 과장된 면이 없지 않다.
ㅇ 사실 지동설과 관련해서 많이 알려진 과학자는 갈릴레오지만
ㅇ 갈릴레오는 새로운 역학 이론을 만들어낸 사람이지 새로운 천문학 이론을 만들어 낸 사람은 아니다
ㅇ 갈릴레오가 활동했을 당시는 이미 많은 과학자들이 지동설을 받아들이고 있었을 때다.
ㅇ 천문학적 맥락에서 그의 중요한 공헌은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, 화려한 언변으로 새로운 이론을 대중화시켰다는 데 있다.
'K-MOO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0606 [네이버캐스트] 아이작 뉴턴 - 영국의 물리학자.천문학자.수학자 (0) | 2021.06.06 |
---|---|
■ 210605 [현대인을 위한 물리의 이해] 1. 물리학의 발달- 1.2 고전물리학 - 1.2.3 뉴턴의 프린키피아와 핼리혜성 (0) | 2021.06.06 |
210605 [네이버캐스트] 케플러의 법칙 - 자연 현상을 수학으로 표현하다 (0) | 2021.06.05 |
210605 [네이버캐스트] 지구의 운동 - 자전·공전·세차운동 (0) | 2021.06.05 |
210605 [네이버캐스트] 갈릴레오 갈릴레이 - 근대물리학의 기초를 닦은 물리학자 (0) | 2021.06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