ㅇ 천동설을 주장한 프톨레마이오스
ㅇ 그가 집필한 한 권의 책 [알마게스트(Almagest, 아랍어로 ‘가장 위대한 책’)]
- 고대 그리스와 바빌로니아의 천문학 이론 집대성
- [알마게스트]에 쓰인 행성들의 위치 계산이나 천문 계산은 놀라울 정도로 정확
ㅇ 천동설
- 우주의 중심에 지구가 있고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달, 그리고 오행성(수성, 금성, 화성, 목성, 토성)이 고유의 궤도를 가지고 돌고 있다는 우주관
ㅇ 전통적인 천동설로는 행성들의 역행과 해와 달, 행성들의 공전 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것을 설명할 수 없었음
ㅇ 프톨레마이오스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
ㅇ 이심원과 주전원을 도입해 설명한 천동설.
- 관측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짜맞추는 과정에서 설명이 복잡해졌고 그 중에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었다.
ㅇ 지동설이 나오기 전까지 천동설은 천문학 체계로 가장 많이 채택
ㅇ 유럽은 15세기에 이르러서야 [알마게스트]를 이해할 수 있는 천문학자가 나타날 정도로 천문학이 뒤처져 있었음
ㅇ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[알마게스트]를 토대로 발전한 유럽 천문학계에서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이 등장
ㅇ 16세기 코페르니쿠스는 ‘태양이 우주의 중심이며 지구는 태양의 주위를 돈다’는 지동설을 주장
'K-MOO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0605 [네이버캐스트] 갈릴레오 갈릴레이 - 근대물리학의 기초를 닦은 물리학자 (0) | 2021.06.05 |
---|---|
■ 210605 [현대인을 위한 물리의 이해] 1. 물리학의 발달- 1.2 고전물리학 - 1.2.2 코페르니쿠스에서 케플러까지 (0) | 2021.06.05 |
210605 [네이버캐스트] 고대인들의 천문학 - 스톤헨지와 피라미드의 비밀 (0) | 2021.06.05 |
■ 210605 [현대인을 위한 물리의 이해] 1. 물리학의 발달- 1.2 고전물리학 - 1.2.1 천상법칙과 지상법칙 (0) | 2021.06.05 |
210531 [네이버캐스트] 물리학의 표준모형 - 세상의 기초 (0) | 2021.06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