ㅇ NASA의 ‘위대한 관측 프로그램’
- 서로 다른 파장을 관측하는 우주망원경 네 대를 띄워 운용한다는 계획
1. 첫 번째 허블우주망원경
2. 1년 뒤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 호로 콤튼 감마선 망원경을 실어 올림
: 감마선과 엑스선(파장이 0.01~0.1nm)을 관측
: 초신성 폭발처럼 엄청난 에너지를 분출하는 현상에서 주로 확인
: 태양이 평생 내놓는 에너지를 단 몇 초만에 방출하는 감마선 폭발은 우주에서 가장 격렬한 현상으로 초기 우주의 상태나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다른 별의 최후, 최초의 별과 같은 천문학 수수께끼를 해결한는 데 실마리를 제공
: 2000년 자이로스코프 고장으로 임무를 마칠 때가지 수천 개의 감마선폭발을 관측하며 우주의 고에너지 현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
3. 세 번째로 찬드라 엑스선 망원경
- 파장이 0.1~10nm인 엑스선 영역을 담당
- 1999년 발사
- 엑스선은 활동성은하핵이나 중성자성,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는 천체에서 나와 이들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
4. 스피처 우주망원경
- 지구의 뒤를 따라 태양 주위를 돌며, 적외선 영역을 관측
- 적외선은 작은 별이나 멀어지는 은하,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천체를 관측하는 데 적합
- 위대한 관측 시리즈를 합하면 감마선에서 적외선까지의 영역을 모두 관측 가능
ㅇ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
- 2008년 발사
- 중성자성 펄서에서 전파뿐만 아니라 감마선도 나온다는 사실을 밝혀냄
ㅇ 제임스웹 우주망원경
- 허블우주망원경의 후계자
- 관측 영역이 주로 근적외선에 집중돼어 스피처우주망원경의 역할까지 대체 가능
- 단일 반사경으로 된 허블우주망원경과 달리 6각형 모양의 거울 18개가 모여 지름 6.5m짜리 주 반사경을 이룸
- 접힌 채로 발사돼 우주에 올라간 뒤 펴짐
ㅇ 막 태어난 젊은 별이나 수명을 다하기 직전의 나이 든 별에서는 자외선 영역이 많이 나옴
ㅇ 케플러 우주 망원경
- 지구와 닮은 외계행성을 찾는 것을 목표
- 약 15만 개의 별을 오랜 시간 동안 관측. 허블망원경보다 더 넓은 영역.
- 2000개 이상의 행성 후보 발견, 그 중 60개 이상을 외계행성으로 확정
ㅇ 플랑크 우주망원경
- 마이크로파로 관측하여 초기 우주 모습을 연구
- 빅뱅의 흔적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
ㅇ 우주 배경복사
- 우주가 4000도 정도로 식으면서 나온 빛 (오늘날의 마이크로파)
ㅇ 러시아의 우주 전파 망원경 라디오아스트론
- 초장거리간섭계를 만들기 위해 우주로 쏨. 지구보다 지름이 큰 초장거리간섭계를 만들 수 있음
- 전파망원경은 여러 대를 네트워크로 구성해 해상도를 높임
'K-MOO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0531 [네이버캐스트] 제2의 지구를 찾아서 - 새로운 인류의 터전은? (0) | 2021.06.02 |
---|---|
210531 [네이버캐스트] 외계 행성 탐험 - 슈퍼 지구를 찾아서 (0) | 2021.06.02 |
■ 210531 [현대인을 위한 물리의 이해] 1. 물리학의 발달 - 1.1 물리학이란? - 1.1.1 프롤로그 (0) | 2021.05.31 |
210520 [멀티미디어] 2주차 정보이론 및 데이터 압축(허프만 부호화) (0) | 2021.05.30 |
210510 [멀티미디어] 1주차 멀티미디어의 정의 및 디지털화 (0) | 2021.05.10 |